-
체육특기자의 진학과 입시제도의 문제
체육특기자제도 체육특기자제도는 1972년 10월 5일 체육진흥계획의 일환으로 ‘학교체육강화방안’이 공포되고, 이어 동년 11월 9일에 제정된 교육법 시행령(대통령령 제 6377호)에 따라 시행되었다. 이 제도의 목적은 학업성적과 관계없이 일정한 경기실적을 보유하면 상급학교 진학…
-
스포츠와 인성교육
어린이 운동선수를 보호하기 위한 방안 어린이 운동선수의 문제 스포츠영재를 육성한다는 이유로 너무 어린 운동선수를 대상으로 훈련을 시키는 것은 아동학대가 될 수도 있다. 한 예로 인도에서 마라톤에 재능이 있다고 판단된…
-
스포츠지도자의 윤리 (2편)
스포츠자도자의 윤리 1편에선 자도자에 의한 폭력과 선수체벌 문제에 대해 다루었다. 이번 스포츠지도자의 윤리 2편에서는 지도자의 스포츠 성폭력 문제에 대해 다루고자 한다. 성폭력 문제 스포츠 성폭력 우리 사회에서 스포츠 성폭력이 본격적으로…
-
스포츠지도자의 윤리 (1편)
지도자에 의한 폭력이 가능한 이유 스포츠지도자가 폭력이 가능한 이유는 무엇보다 무소불위의 권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스포츠지도자와 대등한 견제력과 대항력을 갖춘 사람이나 단체가 있다면 지도자의 폭력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하지만…
-
공부하는 학생선수 만들기
공부하는 학생선수 공부하는 학생선수를 만들기 위하여 국가 차원에서 공부와 운동을 병행하도록 제도적으로 보장하는 방법으로 최저학력제와 주말리그제를 도입하였다. 그동안 학생선수의 학습권이 지켜지지 않고 대외성적을 위한다는 명목으로 무시되어왔다. 학생선수의 학습권을 보장하기 위한…
-
학생선수의 생활권과 학습권
학생선수의 학습권 보장과 최저학력제 학생선수들이 학교생활에서 자유로운 활동을 보장받을 수 있는 권리와 학생으로서 받아야 하는 학습에 대한 권리가 승리를 위한다는 명목으로 박탈당하고 있는 것이 한국적 현실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시행되고…
-
학생선수와 인권
인권 사각지대인 학교운동부 학교운동부 우리나라는 제3공화국부터 국가 주도에 의해 국위선양과 국력과시를 위한 엘리트 스포츠정책을 추진하였다. 그 당시 대한민국을 세계에 알릴 수 있는 유일한 방법 중 하나가 올림픽이나 세계선수권대회에 출전하여 메달을…